1. 기업맞춤형 빅데이터 분석가 양성과정 소개
[기업맞춤형 빅데이터 분석가 양성과정] 선수과정이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저는 12월 28일부터 한국품질재단의 기업맞춤형 빅데이터 분석 양성과정을 시작합니다! [취업과 창업]고용노동부와 한국품질재단 & 안동대학교가 함께하는 2024년 K-Digital Training(1,000
crosefrog.tistory.com
[취업과 창업]고용노동부와 한국품질재단 & 안동대학교가 함께하는 2024년 K-Digital Training(1,000만원
안녕하세요. 저는 졸업을 1년 남기고 이력서, 자소서, 포트폴리오 및 미니프로젝트와 최종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한국품질재단의 빅데이터 분석가 양성과정에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오늘날 세상
crosefrog.tistory.com
2. 기업맞춤형 빅데이터 분석가 양성과정 노트목록
2023.12.28 빅데이터 분석가 양성과정 1일차 노트
오늘은 기업맞춤형 빅데이터 분석가 오리엔테이션이 있었습니다. 1. 기업맞춤형 빅데이터 분석가 양성과정 소개 https://bit.ly/41x8FOX [기업맞춤형 빅데이터 분석가 양성과정] 선수과정이란 무엇인
crosefrog.tistory.com
2024.01.02 빅데이터 분석가 양성과정 2일차 노트
1. 기업맞춤형 빅데이터 분석가 양성과정 소개 https://bit.ly/41x8FOX [기업맞춤형 빅데이터 분석가 양성과정] 선수과정이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저는 12월 28일부터 한국품질재단의 기업맞춤형 빅
crosefrog.tistory.com
3. Chepter 01. 연습문제.ipynb
4. Chepter 02. 연습문제 배포용.ipynb
5. Chepter 03. 조건문.ipynb
6. Notion 강의노트
https://shaded-chair-f39.notion.site/2024-01-02-2-710c8195a08147948888fff0aedbf65d?pvs=4
2024.01.02 2일차 강의노트 | Built with Notion
교육내용
shaded-chair-f39.notion.site
https://shaded-chair-f39.notion.site/2024-01-03-3-7018153d2d7c4bb3a571dbbb57cc9a2f?pvs=4
2024.01.03 3일차 강의노트 | Built with Notion
3-1. 불 자료형과 if 조건문
shaded-chair-f39.notion.site
7. Google Colaboratory Notebook
https://colab.research.google.com/drive/1LopVaWhx9AxfXIuaw4OxRAtmmhIaTnSX#scrollTo=7Bv2H0bCyDt1
Google Colaboratory Notebook
Run, share, and edit Python notebooks
colab.research.google.com
https://colab.research.google.com/drive/1lTY0284EfW-RkBrB4TzRG7VdQ2mkPQUm#scrollTo=H4-VtDSQE2a2
Google Colaboratory Notebook
Run, share, and edit Python notebooks
colab.research.google.com
https://colab.research.google.com/drive/1LUjWgT6CjBC3mNhtoopcim5rR7KfFH41?usp=drive_link
Google Colaboratory Notebook
Run, share, and edit Python notebooks
colab.research.google.com
8. 필기노트
식별자로 사용할 수 없는 것 : 특수기호로 시작하는 경우, 숫자로 시작하는 경우
- \n: 줄바꿈을 의미하는 기호
- \t: 띄우기
- end=’, ’ : 줄바꿈이 아닌, 쉼표로 끝냄
연산하면 결과가 나온다.
불 자료형과 if 조건문
불형 데이터(True, False) 만들기: 비교 연산자
==: 같다
: 크다
≠: 다르다(!=)
- 문자열에서 (크기)비교 연산자를 적용하면 가나다순으로 크기를 따져 줌(사전에 나열되는 순서, 뒤로 갈수록 크다고 판단함)
⇒ 사전 뒤에 나올수록 큰 값.
비교 연산자: 범위 평가(True, False)
- 일상용어에서 이상, 미만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지만 프로그램에서는 명확히 구분해야할 필요가 있다.
세미콜론의 의미: 문장이 끝남
if조건문
: if문은 조건에 따라 실행할 코드를 별도로 지정(조건 분기)
코드블럭지정
- 콜론(:)과 들여쓰기(indentation)로 블럭 지정
- 조건문을 표현할 때 소괄호 생략 가능
c언어는 특수목적, 특정분야 Top
Python은 다양한 분야에 능통
if else
똑같은 일을 하더라도, 다양한 일처리가 가능하다.
- 잘 만든 코드
: 계산의 정확성, 실행(계산)의 속도, 소스 코드의 양, 소스 코드의 가독성
if ~ else와 elif구문
- if~ else~ 형태는 조건에 따라 둘 중 하나(의 코드 블록)를 실행
- if ~ elif ~…else구문은 조건에 따라 여러 코드 블록 중 한 블록을 실행
/돌파력이 있는가?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든 해결하려 했는가?)
- 공백 문자열: ‘ ‘: TRUE
- 빈 문자열: ‘’: False
- 문자열: TRUE
어떤 명령을 받아서 행동을 수행한다고 할 때, 문자가 있으면 참, 문자가 없으면 거짓이다.
pass: 보류한다는 의미
⇒ ‘아무것도 하지말고 넘어가자’ 라는 뜻
활용 방법: 프로그램 구조는 잡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동작하도록 코딩을 해야할지.. 미정일 때 사용할 수 있음
나의 진로를 결정할 때, 희망을 가질 때도, 내가 경험하고 알고 있는 것들 중에서 선택하게 된다.
키위, 수박, 딸기, 차차오, 복숭아
- 미래에 내가 어떤 직업을 가지려고 할 때, 대부분 내가 경험해본 것들 중에서 정하게 된다.
정리를 하자면, 여러가지 경험을 해봐야, 나중에 어떤 일을 할 것이지 결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 지금은 이런저런 것들을 두루 경험해보는 기회를 만들어서 여러가지를 다양하게 파악해보는 것이 좋지 않을까?
대학 졸업해서 15년 써먹는다고 하자.
남은 2~30년을 살아야 하는데 과연 지금껏 배운 것들을 써먹을 수 있는가?
⇒ 석사과정을 선택한 케이스
- 10대 코딩강사 양성과정을 수료하고 중고등학생, 성인반까지 가르치게 되었다.
짐작해본 연봉이 1억이 되었다.
⇒ 회사만 다녔다면, 이런 연봉을 받을 수 없었을 것이다.
어렸을 때 꿈을 ‘강사’가 아니었지만, 직장생활을 하다가 어떤 걸로 벌어먹고살지를 고민하다가 시기적으로 IoT강사 (노동시간 대비 수익이 적음)에서 대학교수
요점: 여러가지 경험을 해봐야 내가 무엇을 할 지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다.
강사라는 직업을 한번쯤은 생각해볼만하다. (새로운 직업군)
장점: 프리랜서, 시간적 자유로움
단점: 수입이 확실치 않다.
⇒ 인생계획을 잘 세우자.
(다양한 경험, 다양한 직업군)
대학 나와서 직장생활 몇년할 것이라면, 굳이 대학을 갈 이유가 있을까?
⇒ 세상은 어떤 사람을 원하는가?
- 다양한 직업군이 있다. 인생은 모른다.
원래 음악을 공부하던 사람. 어깨 너머로 프로그램을 하게 되었고, 보드에서 코딩, 기계에서 조작하는 것까지 알게 되어서 카메라 원격조종까지 오게 되었다.
⇒ 우리의 삶이 어떻게 흘러갈지 모른다. 우리가 대학 4년동안 배운 지식이 나의 사고의 범위를 줄일 수도 있다.
세상 돌아가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나만의 예측하는 시야를 가져야하지 않을까.
한 순간의 판단이 모든 걸 결정하기도 한다.
쭉 관심을 가지고 지내다 30대 후반이 되면 조금씩 보인다.
⇒ 자기 나름의 예측을 할 수 있게 된다.
instance라는 용어가 등장한다.